면역력 높이는 식품에 관심…유제품·대체육 발전 가능성
코로나19로 인해 언택트 소비시대로 빠르게 전환하면서 중국 식품산업도 1인 식품 및 건강식품 수요가 확산되고 있어 이에 발맞춘 새로운 제품 개발과 고객 접근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고 코트라 선양무역관이 최근 밝혔다.
무역관에 따르면, 먼저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1인 식단’ ‘혼밥’이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기간 동안 1인 식료품의 소비증가율은 명확했다. 중국의 배달앱 중 하나인 메이투안의 이용자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조업이 중단된 2월 초순 1인 식단을 이용한 고객 수에 비해 조업이 재개되던 2월 중순의 1인 식단 이용자 수가 32.4% 증가했다. 조업재개가 90%에 이르던 2월 하순의 1인 식단 이용자는 150.8% 증가, 3월 초순은 226.8% 증가하는 등 1인 식사방식이 문화로 자리를 잡기 시작했다.
또 단체식사를 피하고 1인이 식사하는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혼자서 편안하게 식사할 수 있는 1인 식당이 생겨나고 있다. 아울러 1인에 맞춰 포장 크기에 변화를 주고 있는데, 기존에 비해 작아진 포장의 쌀과 적은 양의 식용유가 시장에 출시되고 있으며 기존 750ml에서 크기가 줄어든 200ml 크기의 미니어처 와인이나 양주 등도 잇따라 등장하고 있다.
두 번째 주요 변화는 면역력과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다. 민텔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20~49세 부모 중 59%가 아이의 면역력을 높히는 식품과 음료를 구매하기 원했고 55~74세 소비자 중 54%가 면역력 증가 식품에 대해 관심을 가졌다. 그렇치만 커져가는 관심에 비해 아직까지 관련 소비는 상당히 낮은 수준으로, 2019 기준 중국 내 1인당 기능성 식품소비는 29달러에 불과했다. 이는 한국 122달러, 일본 168달러, 미국 236달러 보다 훨씬 낮은 수준으로 향후 시장발전 가능성은 큰 것으로 전망된다.
또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강에 초점을 맞춘 다양한 식품들이 등장하고 있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이 식물을 기반으로 한 식품의 대거 등장이다. 대표적인 식품으로는 천연조미료 및 식물로 만든 대체육을 들 수 있는데, 올해 4월 중국 KFC에서는 식물과 천연조미료로 만든 식물치킨너겟이, 상하이 스타벅스에서는 인공육이 포함된 샐러드세트를, 6월엔 피자헛에서 인공육으로 만든 햄버거세트가 각각 출시됐다.
특히 IPSOS 조사연구 데이터에 따르면, 86%의 소비자가 코로나19 이후 육류 소비 습관을 바꿀 것이라고 답했고 약 40%의 소비자가 육류가공품의 소비를 최대한 줄여나갈 것이라고 답해 대체육 시장의 확대 발전 가능성을 점쳐볼 수 있다.
아울러 유제품 시장도 발전 가능성이 높다. 2018년 중국 유제품 연평균 시장 증가율이 14.7%에 이를 정도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최근엔 기존 유제품이 가지고 있던 기능에 헬리코박터균 억제 및 암예방을 위한 Probio LG21이나 독성물질 예방을 위한 R-1, 통풍완화 및 요산값 저감을 위한 Probio PA-3 등 새로운 기능을 추가해 점차 세분화되고 있는 소비자층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July 20, 2020 at 11:35PM
https://ift.tt/32D87dP
중국도 코로나로 1인용·건강식품 수요 증가 - 식품음료신문
https://ift.tt/2ArCEj8
0 Comments:
Post a Comment